치질
치질 하면 대부분 귀찮은 존재로 생각한다. 사실상 일시적인 출혈이나 가벼운 통증으로 증상이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배변후 변기가 갑자기 붉은 선혈로 변색하게 되는 것을 보게되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섬뜻 건강에 자신을 잃게 되며 혹시 신체에 중병이 생겼나 하는 의심을 하게 된다. 그렇다고 해서 이 문제를 누구하고 꺼림 없이 상담하거나 진단 받는 것도 그다지 간단한 일은 아니다. 이럴 때 증상이 흔히 발생하는 치질 때문인지 아닌지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치질의 원인, 증상 및 치료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한다.
항문 주위에 모여있는 정맥혈관들이 확장된 상태를 치질이라고 한다. 치질은 암치질과 (internal hemorrhoid) 과 숫치질 (external hemorrhoid) 로 나누어 구분된다. 두 가지 치질 질환 중 암치질이 더 자주 발병하는 편이다. 암치질은 항문 안쪽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암치질이라고 불리는데 이미 기존되어 있는 3개의 정맥혈관이 확장될 때 발병한다. 반면에 숫치질은 항문 주위나 밖으로 발생한다. 사실상 많은 경우 숫치질과 암치질이 동시에 존재한다.
치질은 아주 흔한 질환으로서 성인 인구의 35-50%가량이 이에 고생한다. 대부분 연령 25-55세부터 증상이 시작되며 15세 전에는 발병이 극히 드문 편이다. 치질은 남녀 성별에 관계없이 발생한다.
왜 치질이 생기는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확실한 답변이 나오지 않고 있다. 한 학설에 따르면 인간의 자세 때문에 치질이 발생한다고 한다. 치질이 사람에게만 생기는 이유는 다른 동물과는 달리 인간은 항상 서서 활동하기 때문에 피가 신체 하부에 고여 치질혈관이 장기적으로 확장 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반면에 다른 학설에 따르면 흔히 볼 수있는 변비현상 때문에 치질혈관이 충혈 되어 문제가 발생한다고 한다. 장기간 변기에 앉아 힘을 주거나 임신부처럼 복압이 높은 것도 치질을 유발시키는데 주요 원인이 되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치질의 가장 흔한 증상은 혈변이다. 대부분 배변 후 항문에서 붉은 피가 주룩주룩 흐르거나 피가 변에 묻어 나오는 것이 가장 자주 볼 수 있는 증상이다. 배변후 피가 화장지에 묻어 나오는 것으로 그치는 경우도 많다. 출혈이 심하거나 장기간 지속되면 빈혈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나 검은 피가 보이거나 변의 굵기의 변동 등 다른 증상이 동반할 때는 치질 외 다른 질병의 발생여부를 꼭 확인해야 한다. 치질조직의 확장이 심해지면 암치질이 항문 밖으로 밀려 나오기도 한다. 숫치질은 치질조직의 혈관응고로 심한 통증이 동반하지만 혈변은 드문 편이다. 반면에 암치질의 경우에는 통증이 드물다.
치질에는 많은 종류의 치료법이 있으며 간접적인 식사요법부터 제거수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일단 치질증상이 나타나면 치질현상을 도모하는 변비를 제거하여야 한다. 따라서 섬유를 많이 섭취하고 음료수를 자주 마시는 것이 좋다. 변이 너무 딱딱할 때는 변을 부드럽게 해주는 윤활제를 복용한다. 또한 배변시 너무 힘을 주어 치질조직을 충혈 시키는 것을 삼가 하도록 하여야 하며 변기에 앉아 너무 오랜 기간 동안 있거나 독서하는 습관은 버려야 한다. 숫치질이 발생하여 통증이 심할 때 배변후 미지근한 물로 좌욕하고 부신 홀몬제 (corticosteroid) 좌약이나 크림 등을 사용하여 치질조직의 염증을 제거하고 통증을 감소시킨다.
치질상태가 너무 심하거나 약물치료법으로 뚜렷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게 되면 치질제거 치료법을 고려하게 된다. 지난 20년 동안 보편화되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치료법은 고무줄로 치질조직을 묶어 버리는 방법이다. 고무줄로 묶인 치질조직은 순환중단으로 세포가 시간이 흐르면서 죽어 떨어진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의사사무실에서 마취 없이 약 10분 정도의 시간에 걸쳐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밖에 적외선 (UV) 치료법, 레이저 (laser) 치료법, 혈액 응고제 주입법 등으로 수술 없이 치질을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증상이 너무 심하거나 다른 치료 방법에 실패했을 경우에는 외과적 치질절제 수술을 시도한다. 이는 성공률이 높은 대신 통증이 심하고 병원에 입원이 필요하며 간혹 항문괄약근에 이상을 초월할 수 도 있어 최종의 치료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